10% 할인후 1만원 넘어야 배송료 면제
당연한 질문 같지만 인터넷 서점에서 구매한다면 전혀 엉뚱한 답이 튀어나온다. 1000원 더 비싼 책을 구입하는 고객이 결과적으로는 1600원을 절약하게 된다.
비밀은 바로 `배송료`. 대부분 인터넷 서점들이 출간 18개월 미만 신간에 10% 할인을 적용하고 1만원 이상 구매 고객들에게는 배송료를 면제해준다. 그래서 1만2000원짜리 책을 구입하는 고객은 10% 할인해도 1만800원이기 때문에 배송료를 면제받는다. 반면 정가 1만1000원짜리 책을 살 때 10% 할인을 하면 정가가 9900원이 되기 때문에 면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 결국 배송료 2500원을 더 내므로 고객은 총 1만2400원을 지불해야 한다.
10% 할인과 배송료 대납은 단기적으로는 고객에게 큰 이익이 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책값이 정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꼭 그런것만은 아니다.
정가를 정하는 주체는 출판사다. 보통 종이값, 제본비, 인쇄비 등 책 한 권을 만들 때마다 발생하는 `변동비`가 책값의 15~20% 정도를 차지하도록 정가가 정해진다. 저자들에게 돌아가는 인세는 정가의 10% 정도. 서점의 몫은 정가의 40% 전후다.
책값을 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예상 판매량. 책은 편집비, 디자인비, 선인세, 번역비 등 고정비 비율이 높은 상품이어서 예상 판매량을 정확히 예측해야 손익분기점에 맞춰 책값을 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출판사들은 초판을 모두 팔면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도록 책값을 정한다. 하지만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책이 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출판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인터넷 서점에서 책을 사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무료배송 조건도 책값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소가 되고 있다.
한 출판사 대표는 "요즘에는 책값을 정할 때 10% 할인 가격에도 무료배송이 가능한지 고민한다"며 "그래서 대부분 책값을 1만1500원이 넘어가는 선에서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터넷 서점의 할인폭도 고려 대상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출간한 지 18개월이 지난 책들은 도서정가제의 제재를 받지 않는다는 점. 간혹 30~50%까지 할인 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때에는 책을 팔아도 출판사들은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출판사들은 18개월 이내에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도록 책값을 높게 매길 수밖에 없다.
[정아영 기자]
기사입력 2011.03.02 17:22:49 | 최종수정 2011.03.02 19:16:15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책이 종이책을 이길 수 없는 5가지 (0) | 2011.06.11 |
---|---|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인가? 모방인가? (0) | 2011.04.01 |
전자책 시장, 2018년에 8800만대까지 증가 (0) | 2010.11.07 |
인터파크도서 전자책 서비스… 아이패드용 ‘비스킷’ 앱 출시 (0) | 2010.11.07 |
인터파크, 한국대표 작가 10인 전자책 출간 (0) | 2010.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