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어진 스트립쇼·비디오·편지
예의·프라이버시·집중력도 실종
인터넷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일터에서도 이동 중에도 심지어는 휴가 때까지 현대인은 인터넷을 끼고 산다. 지난 10년간 지구촌을 ‘웹 네트워크 세상’로 묶어버린 인터넷은 우리 주변의 익숙한 것들을 너무도 ‘낯설게’ 만들었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8일 ‘인터넷이 죽인 것들(What the Internet Killed)’이라는 제목으로 인터넷 발달로 인해 우리 주변에서 사라진 것들 14가지를 선정해 보도했다.
▶스트립쇼ㆍ성인영화관=가장 이색적인 것은 스트립쇼. 한때 성인이 아니면 구하기 힘들었던 포르노 사진, 영상물들을 인터넷에서는 누구나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미성년자가 18세 이상 성인이라고 주장한다 해도 모니터 뒤의 이용자를 확인할 방도는 없다. 이에 따라 스트립쇼나 성인용 영화관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나인투파이브’ㆍ휴가=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근무시간을 일컫는 ‘나인투파이브’라는 용어 사용도 현격히 줄었다. 뉴스위크는 “인터넷 때문에 직원 e-메일로 밤늦게 또는 이른 새벽, 심지어 주말까지 업무를 지시할 수 있게 됐다”며 “사무실을 떠나면 일은 잊으란 말은 인터넷 시대에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휴가도 마찬가지다. 인터넷과 함께하는 휴가는 진정한 휴가라고 할 수 없다.
▶사실(fact)ㆍ프라이버시=인터넷 상에서는 ‘오바마가 모슬렘’이 되기도 한다. 근거없는 거짓 정보들이 넘쳐나고 오히려 이런 거짓정보가 세인들의 주목을 받는다.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도 심각하다. 뉴스위크 기자가 온라인 보안업체에 인터넷을 통해 자신에 관한 정보를 찾아달라고 의뢰하자 30분 만에 사회보장번호(한국의 주민등록번호)를 찾아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정보 보안이 취약해졌다.
▶비디오, CD, 졸업앨범, 편지, 폴라로이드와 필름들=추억의 물건들도 사라지고 있다. 미국의 비디오 대여 체인점인 블록버스터는 25년 전 문을 연 뒤 3000개의 지점을 거느리며 급팽창했지만 지난 9월 결국 파산했다.
CD는 이제 벼룩시장에서나 볼 수 있는 물건이 돼 버렸다. 학창시절의 상징인 졸업앨범은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확실히 판매가 줄고 있다.
손으로 쓴 러브레터의 낭만도 사라졌다. 세상에 단 한 장이 있는 폴라로이드나 필름은 이젠 찾아보기조차 힘들다. 암실과 사진전문점이 없어졌으며, 주머니에 들어가는 작은 디지털 카메라가 이들을 무용지물로 만들었다.
▶전화번호부, 백과사전=두껍고 무거운 책의 대명사인 전화번호부와 백과사전을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예전엔 피자를 배달시키기 위해 전화번호부를 뒤적였지만 지금은 인터넷 검색으로 해결한다. 백과사전은 위키디피아 등에 밀려 더이상 필요없게 됐다.
▶집중력ㆍ예의=최근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주의가 산만해지고 있는것에 대한 책임이 인터넷에 있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 학생들은 에세이를 쓰면서도 페이스북 창을 켜놓고 있고, 독서보다 소셜네트워킹 사이트에 접속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인터넷이 인간의 창의성을 훼손시킨다는 목소리도 높다. 인터넷 상에서의 ‘예의없음’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온라인의 익명성을 악용한 악성댓글은 ‘마녀사냥’까지 일삼는다.
'등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서를 떠나지 않고도 즐기는 나만의 피서법 1위 (0) | 2011.07.06 |
---|---|
도서관 음모론(?) (0) | 2011.06.20 |
도서관의 무개념 소리 종결자 (0) | 2011.04.29 |
책정리 (0) | 2011.04.28 |
도서관? 모델하우스? (0) | 201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