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독서율 14.6%..전자책 독서량은 1.6권
문화부·한국출판연구소, '전자책 독서실태 조사' 발표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지난 1년간 전자책을 한 권이라도 읽은 사람의 비율은 전체 14.6%이며, 전자책 독서량은 1.6권인 것으로 집계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연구소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2 전자책 독서실태 조사'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의 만 10~69세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일대일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자책 독서를 주제로 전국 단위 표본 조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결과 전자책(교과서, 학습참고서, 만화, 잡지 제외) 독서율은 14.6%였다. 전자책 독서율은 지난 1년 동안 전자책을 한 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이다.
전자책 구입에 쓰는 비용은 연간 1만 1천804원으로 종이책 구입비 4만 8천901원의 4분의 1 수준이었다. 학력이나 소득이 높을수록 전자책 독서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이책만 읽는 독자는 56.0%였고 전자책만 읽는 독자는 1.7%로 나타났다. 종이책과 전자책 모두 읽는 독자는 12.9%, 비독서자는 29.4%였다.
비독서자를 포함한 전자책 독서량은 1.6권으로 집계됐다. 전자책 독서자만 기준으로 삼으면 독서량은 10.8권으로 늘어났다.
전자책은 모바일 등 이용기기가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젊은 층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자책 독서인구 비율은 20대가 29.2%로 가장 높았고, 10대와 30대가 각각 21.5%와 17.5%로 뒤를 이었다.
전자책 독서자들은 문학 분야(38.3%)를 가장 선호했다. 문학 분야에서도 일반 문학(18.5%)보다는 장르 문학(19.8%)을 더 좋아했다.
읽는 기기로는 스마트폰이 44.1%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전자책 전용 단말기의 비중은 2.3%로 매우 낮았다. 컴퓨터·노트북은 38.1%, 태블릿PC는 11.2%로 조사됐다.
전자책을 이용하려고 주로 방문하는 곳은 인터넷 포털이 34.1%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앱스토어(30.3%)와 인터넷서점(12.9%)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전자책을 많이 읽기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 확충(39.3%)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기술 개선(39.1%)과 가격 인하(21.0%) 등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앞으로 5년 후에도 여전히 종이책 위주로 독서할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 절반을 넘은 50.6%로 집계됐다. '종이책과 전자책이 절반씩일 것'(21.4%) 및 '전자책 위주일 것'(20.1%)이라는 답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문화부는 "전자책 독서율은 콘텐츠 확충과 서비스 및 기술 여건이 개선될 경우 종이책과 전자책을 함께 읽는 '하이브리드 독자층' 확산에 힘입어 점차 증가할 것"이라며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독서 생태계를 조성하고, 현재 수립하고 있는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도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사입력 2013-03-06 12:00 | 최종수정 2013-03-06 12:21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ook > e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성인 10명 중 3명이 전자책 독자 (0) | 2014.01.22 |
---|---|
전자책 시장은 '19금' 열풍 (0) | 2013.07.16 |
네이버, e북 10만권 4월 출시…전자책 시장서도 강자 되나 (0) | 2012.04.03 |
일본, 편의점에서 전자책 팔아요 (0) | 2012.04.03 |
해리포터 암호화하지 않은 전자책으로 발매 (0) | 2012.04.03 |